본문 바로가기
콩지와 경제 공부

실적발표, 재무제표 이것만 알아도 경제뉴스 10배 쉽다!

by 콩지(햄스터) 2023. 6. 16.

실적발표, 재무제표 이것만 알아도 경제뉴스 10배 쉽다.

 

실적발표란?

 

실적발표=기업의 성적표가 나오는 것

 

우리가 학창 시절 때 중간고사, 기말고사를 보고 한 학기 성적표가 나오는 것처럼 기업들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분기별로도 성적을 발표하고 1년마다 성적을 모아서 발표하기도 합니다. 분기마다 발표해서 분기 보고서라고도 부르고 1~3월까지를 1분기 4~6월까지를 2분기 7~9월까지를 3분기 10월~12월까지를 4분기라고 합니다. 4~6월(2분기)까지의 실적은 7월쯤에 발표합니다. 한 분기가 끝나고 45일 이내에 분기보고서를 제출해야 되기 때문에 분기가 끝난 6월 30일을 기준으로 45일 이내면 8월 중순까지는 "얼마나 팔았고, 우리 기업의 성적은 어떠하다"라는 것들에 대한 실적 발표를 해야 합니다.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들은 대부분 잠정실적이라는 것을 발표합니다. 잠정실적이란 기업에서 추정했을 때 대략 이 정도의 나올 것 같다는  확정되지 않은 성적입니다. 증권사 또한 기업의 실적이 어떨 것이다에 대한 추정치를 내놓습니다. 증권사의 추정치나 기업의 잠정실적 같은 경우가 확정 실적이 어떻겠다에 대한 힌트로 나와있는 겁니다. 확정 실적을 발표했을 때 예상치 보다 잘 나온다면 주가가 오르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어닝 서프라이즈라고 합니다. 분기 실적이 나오고, 추정치가 나오는 시즌 자체를 어닝 시즌이라고 부르고 기대치 보다 실적이 덜 나왔을 때는 어닝 쇼크라고 표현합니다. 분기 보고서를 볼 때 YoY나 QoQ와 같은 단어들이 나오는데 YoY는 Year on Year로 전년 동기와 비교하는 것(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이고 QoQ는 Quarter on Quarter로 직전 분기와 비교하는 것(직전 분기 대비 증감률)입니다.

 

재무제표 보는 법

 

다음으로 영업이익 매출액 순이익 이게 각각 무슨 의미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각 기업들이 실적을 발표할 때에는 금융감독원이 관리하는 DART라는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규모가 큰 회사라면 자회사, 지배회사, 계열사 등 관련된 기업이 많이 있겠죠, 그럼 그 기업들의 실적이 하나의 회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그런 것들을 종합적으로 살펴서 반영한 재무제표를 '연결 재무제표'라고 합니다. 또한, 자회사, 계열사 등의 영향을 떼놓고 한 회사만 봤을 때 어떤지를 보여주는 재무제표를 '별도 재무제표'라고 합니다.

 

매출은 어떤 물건의 가격에 판매 수량을 곱한 값입니다. 예를 들어 한 권에 만 원짜리 책을 만들어서 100권 팔았다면 매출액은 100만 원입니다. 하지만 인쇄소를 찾고 포장하고 발송하고 등의 비용을 생각 안 하고 100만 원을 벌었다고만 생각하면 안 되겠죠. 여기서 어떤 비용들이 이 매출을 만들어내는 데 사용이 되었는지를 따져보는데 여러 용어가 있습니다.

 

매출원가란 제품을 만드는데 들어가는 비용이며 재료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매출에서 매출원가를 제외하고 판관비(판매비와 관리비)도 제외해 주면 영업이익이 됩니다. 영업이익은 회사의 본업에서 나온 이익이기 때문에 영업이익이 잘 나오면 굉장히 좋은 신호라고 해석합니다. 영업이익 말고도 영업 외 이익이라는 것도 있습니다. 각 회사별로 본업이 있는데 본업 말고 다른 일에서 벌어들인 수익을 영업 외 이익이라고 합니다. 국순당이라는 회사는 외환차익과 사모펀드로 벌어들인 수익으로 영업적자를 극복하고 상장폐지의 위기를 탈출하기도 했습니다. 영업 외 손실이라는 것도 있는데 이는 영업 외 이익과는 반대로 투자 손실이 난다든지 부동산을 산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판다 든 지의 일 등으로 발생합니다.

 

소득이 있는 사람, 소득이 있는 법인은 소득에 따른 세금을 내야 합니다. 연말정산에서도 세금 떼기 전에 소득이 얼만지 따져보는데 법인세 비용을 차감하기 전 사업이익이 어떻게 되느냐를 보여주는 것이 법인세 비용 차감 전 계속사업이익입니다. 그리고 거기서 세금까지 떼고 난 이익이 당기순이익이 됩니다. 최종적으로 회사에 남는 수익이 당기순이익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재무제표를 볼 때에는 기업 하나만 보면 안 되고 동종업계의 다른 기업들과 비교하고 시장에서 이 업계가 차지하는 비중 등을 고려해서 종합적으로 살펴보셔야 합니다.